카테고리 없음

2021.04 #nft 관련 이슈 #이더리움

루씨바 2021. 4. 13. 17:57
반응형

뉴욕 증시 "쿠팡 첫 거래 기념 'NFT' 발행한다"


뉴욕증권거래소가 NFT를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3월 상장한 쿠팡과 로블록스를 비롯해 2020년 소프트웨어 최대 IPO를 진행한 스노우플레이크, 뉴욕 증시 최초의 직상장 기업 스포티파이, 유니티, 도어대시, 로블록스가 첫 NFT 발행의 주인공이 됐다.

유명 인사부터 대기업까지, NFT 가치에 주목

NFT가 구현한 새로운 디지털 희소성 개념은 다양한 거래 활동, 시장, 수익을 만들어내며 게임, 예술, 스포츠 등 각종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유명 아티스트, 스포츠 스타, 대기업 등이 NFT 발행 행렬에 가세하며 2020년부터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www.tokenpost.kr/article-58026?p_ref=v27rbg

 

뉴욕 증시 "쿠팡 첫 거래 기념 'NFT' 발행한다" - 토큰포스트

시가총액 기준 세계 최대 증시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신규 상장한 6개 기업의 최초 거래를 기념하는 대체불가토큰(NFT)을 발행했다.2021년 4월 12일(이하 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는

www.tokenpost.kr

 

 


언론 산업도 'NFT 열풍'…포브스, 잡지 표지 NFT로 경매


미국 대표 경제지 포브스(Forbes)가 대체불가토큰(NFT) 시장에 합류했다.

포브스는 2021년 4월 5일(이하 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자사 잡지 표지를 '메타버스의 상인(Merchants of the Metaverse)'이라는 주제의 NFT로 판매한다고 밝혔다.

랜달 레인(Randall Lane) 포브스 최고 콘텐츠 책임자(Chief Content Officer)는 "자사의 표지는 전 세계를 움직이는 억만장자들과 차세대 기업가들을 포착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장소"라며 "자사의 표지를 NFT로 변경함으로써 저널리즘이 단 하나밖에 없는 이 그림처럼 불변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www.tokenpost.kr/article-57744?p_ref=m0XGfz

 

언론 산업도 'NFT 열풍'…포브스, 잡지 표지 NFT로 경매 - 토큰포스트

미국 대표 경제지 포브스(Forbes)가 대체불가토큰(NFT) 시장에 합류했다.포브스는 2021년 4월 5일(이하 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자사 잡지 표지를 메타버스의 상인(Merchants of the Metaverse)이라

www.tokenpost.kr

 

 



크로아티아 테니스 선수 오른팔 NFT 판매...문신 광고 활용


야후 스포츠에 따르면 크로아티아 여성 테니스 선수 올렉산드라 올리니코바가 NFT 마켓 플레이스 오픈씨에서 자신의 오른팔 일부를 NFT를 통해 판매했다. 낙찰자는 선수의 오른팔 안쪽 팔꿈치와 어깨 사이 가로 6인치, 세로 3인치 부분에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나 이미지 문신을 세길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해당 NFT는 3ETH에 거래되었으며, 약 5400 달러 수준이다. 

올렉산드라 올리니코바는 국제 테니스 연맹 월드투어 30위, 여자 테니스 협회 658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문신 광고는 앞서 2000년대 초반 다수의 배구선수, 스케이트보드 선수들 사이에서 유행한 바 있다.

 

www.tokenpost.kr/article-57910?p_ref=MshkgP

 

 


케이스타라이브, SBS 미디어넷과 한류 NFT 글로벌 마케팅 협약 체결


전 세계 930만 구독자를 보유한 한류 미디어 스타트업 케이스타라이브와 SBS미디어넷이 NFT를 활용한 한류 글로벌 마케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NFT(NFT, Non-Fungible Token) 기술을 통해 한류 콘텐츠를 글로벌로 홍보하고 향후 한류 메타버스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2019년부터 업무협약을 통해 글로벌 마케팅을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SBS미디어넷은 케이스타라이브와 함께 “더 쇼”의 독점 사진이나 영상을 NFT로 만들어 전 세계 팬들에게 소개함으로서 K-POP 글로벌 마케팅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SBS미디어넷 “더 쇼(THE SHOW)”는 국내에 단 하나뿐인 글로벌 K-POP 뮤직 버라이어티쇼로서 한국, 일본 뿐 아니라, MTV아시아를 통한 동남아 주요국가, 프랑스, 러시아, 호주 전세계 76개국 송출되고 있다.

 

www.tokenpost.kr/article-57801?p_ref=J0TkV9

 

케이스타라이브, SBS 미디어넷과 한류 NFT 글로벌 마케팅 협약 체결 - 토큰포스트

전 세계 930만 구독자를 보유한 한류 미디어 스타트업 케이스타라이브와 SBS미디어넷이 NFT를 활용한 한류 글로벌 마케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NFT(NFT, Non-Fungible Token) 기술을 통해 한류 콘텐

www.tokenpost.kr

 

 


구찌, NFT 출시 검토 중…"명품 브랜드 NFT 시간문제"


NFT가 예술 작품, 음악, 팝 문화 상품, 패션 등 엔터테인먼트 시장까지 확장됨에 따라 명품 브랜드들도 NFT 출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마졸리 에르난데스는 "유명 패션 브랜드들의 NFT 출시는 누가 먼저 방아쇠를 당기는가에 대한 문제"라며 "명품 브랜드들은 전자상거래 트렌드에 뒤처졌다는 것을 인식하고 블록체인과 같은 신기술을 실험해보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게임과 명품 브랜드는 콜라보를 통해 새로운 소비를 창출하고 있다. 게임 내 NFT를 통해 게임을 브랜드 홍보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있다.

NFT는 게임 내 제작된 명품 아이템을 거래하고 진품을 인증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브랜드는 실제 제품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이용한 온라인 저작권, 라이센스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라이엇게임즈는 2019년 9월 루이비통과 LoL(리그 오브 레전드) 버추얼 의상 개발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제작된 의류, 신발, 가방, 액세서리 등 총 47종의 한정판 아이템은 2020년 10월 유럽에서 1시간 만에 매진됐다.

2021년 1월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 엔진과 메타버스미는 파트너십을 체결해 메타버스미 아바타들의 의류 등 가상 패션 아이템을 NFT로 제작한 바 있다.

 

www.tokenpost.kr/article-57496?p_ref=DOMk7B

 

구찌, NFT 출시 검토 중…"명품 브랜드 NFT 시간문제" - 토큰포스트

구찌를 비롯한 명품 브랜드들이 자사 제품을 기반으로 대체불가토큰(NFT) 출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명 패션 브랜드들의 NFT 출시로 새로운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2021

www.tokenpost.kr

 


美 R&B 가수 위켄드, NFT 경매로 229만 달러 모금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브리핑에 따르면, 최근 미국 R&B 가수 위켄드(The Weeknd)가 대체불가토큰(NFT) 컬렉션 경매를 통해 229만 달러를 모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NFT는 제미니 산하 NFT 마켓 플레이스 니프티 게이트웨이를 통해 판매됐으며, 컬렉션에는 위캔드의 미공개 곡들이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www.tokenpost.kr/article-57372?p_ref=Yc0YiA

 

美 R&B 가수 위켄드, NFT 경매로 229만 달러 모금 - 토큰포스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브리핑에 따르면, 최근 미국 R&B 가수 위켄드(The Weeknd)가 대체불가토큰(NFT) 컬렉션 경매를 통해 229만 달러를 모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NFT는 제미니 산하 NFT 마켓

www.tokenpost.kr

 



K리그, NFT 선수 카드 2021시즌 버전 출시한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020년 6월 판타지 풋볼 전문업체 소레어(Sorare)와 라이센스 협약을 맺고 K리그 선수들을 수집용 디지털 카드로 출시했다. 카드 수집품의 진위성과 희소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술이 사용된다.

 

www.tokenpost.kr/article-57122?p_ref=xmU24Y

 

K리그, NFT 선수 카드 2021시즌 버전 출시한다 - 토큰포스트

K리그가 NFT를 활용한 2021시즌 버전 디지털 선수 카드를 출시한다. K리그는 2020년에도 디지털 카드를 출시해 큰 관심을 모은 바 있다.2021년 4월 1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K리그의 디지털 선수 카드 2

www.tokenpost.kr

 

 


니프티, NFT 환경 문제에 '탄소상쇄권 매입'으로 대응

기후 변화 대응, 시대적 흐름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은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전 세계가 순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할 방침이다. 탄소 포집·저장 기술을 통해 순배출량을 마이너스로 만드는 탄소 마이너스(Carbon Negative) 개념까지 나오고 있다.

투자자들은 비(非) 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표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준에 부응하지 못한 기업들은 시장에서 배제되고 있다. 대형 자산운용사 등 투자 부문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화석 연료를 사용해 얻은 매출이 25%가 넘는 기업의 채권과 주식을 처분하고 있다.

래리 핑크(Larry Fink) 블랙록 회장은 "전 세계 투자 자금은 지속가능한 사업 쪽으로 흐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 위기가 곧 투자 위기이며 기후 문제를 고민하지 않는 국가와 기업은 주식 수요 감소를 목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www.tokenpost.kr/article-56954?p_ref=ohJrkr

 

니프티, NFT 환경 문제에 '탄소상쇄권 매입'으로 대응 - 토큰포스트

작품의 진위와 소유권을 증명해주는 대체불가토큰(NFT)은 예술 업계에 새로운 활로이자 수익 창출 방안을 제공하며 부상하고 있다. 2021년 2월 한 달 NFT 거래량은 3억 4200만 달러로 2020년 한 해보다

www.tokenpost.kr

 



클레이튼, NFT 마켓 플레이스 '오픈씨'와 맞손…NFT 거래 지원 예정


그라운드X는 NFT 발행 툴(Tool)인 ‘클립 파트너스(Klip Partners)’를 제공하고 있다. NFT 템플릿 생성, 발행과 배포, 조회 등의 기능을 제공해 기업들이 NFT를 직접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재선 그라운드X 대표는 “오픈씨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클레이튼 기반 NFT가 쉽게 거래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창작자들이 클레이튼 위에서 수수료에 대한 고민없이 NFT를 발행하고 글로벌 시장을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www.tokenpost.kr/article-56813?p_ref=Yk26O2

 

클레이튼, NFT 마켓 플레이스 '오픈씨'와 맞손…NFT 거래 지원 예정 - 토큰포스트

클레이튼(Klaytn) 기반 대체불가토큰(NFT)이 세계 최대 규모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OpenSea)에서 거래될 예정이다.2021년 3월 29일 카카오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

www.tokenpost.kr

 

 


"대세는 역시 NFT"…시장 규모 3개월 동안 28배 성장

NFT 시장 규모 3개월 동안 28배 성장
전문가들 “NFT 시장 성장 잠재력 커”

ERC-721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생성된 NFT 토큰은 고유 식별자 ‘token ID’와 자산을 설명해 주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생성한다. 변경할 수 없는 token ID와 컨트랙트 주소는 각 NFT를 구분하는 영구적인 식별자가 된다. 함수 ownerOf( )에 token ID를 입력하면 NFT를 보유한 주소(소유자)를 조회할 수 있다.

NFT는 고유한 토큰이기 때문에 불러올 수 있는 소유자 주소도 하나로 정해진다. 조회된 주소를 크립토키티나 오픈씨 같은 발행 플랫폼에 등록된 주소와 대조해 개별 인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NFT는 예술 작품, 비디오 게임 아이템, 음악,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 다양한 곳에서 희소성이 있는 디지털자산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댑레이더(DappRadar)에 따르면 NFT 시장에 유입된 자본 규모는 2020년 12월 1200만 달러(약 135억 원)에 불과했지만 2021년 2월 3달 만에 3억 4200만 달러(약 3866억 원)로 28배 급증했다.

이어 “6930만 달러에 팔린 비플의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나 지금까지 판매된 일부 품목에 대한 유례없는 가치평가는 NFT 시장에 거품이 낀 상태임을 보여주는 예"라며 “비플 자신도 최근 인터뷰에서 NFT 시장을 '거품'이라고 표현했다”고 말했다.

낙관과 비관이 공존하는 업계 평가를 바라보며 마티 그린스펀(Mati Greenspan) 애널리스트는 “우리는 NFT 시장의 변동성을 목격하겠지만 NFT 기술이 결국 살아남을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www.tokenpost.kr/article-56710?p_ref=zhmWRY

 

"대세는 역시 NFT"…시장 규모 3개월 동안 28배 성장 - 토큰포스트

대체불가토큰(NFT) 시장이 커지면서 NFT 발행 표준 규격인 이더리움 ERC-721의 스마트 컨트랙트 건수가 대폭 증가했다. NFT 시장 규모는 3개월 동안 28배 성장했다.2021년 3월 26일 디크립트는 코인메트

www.tokenpost.kr

 

 


NFT, 언론사 수익모델로 영역 확장…뉴욕타임즈 칼럼 6억원에 팔려


칼럼니스트 기사 NFT 토큰으로 발행
블록체인 기술, 언론사 먹거리로 부상

미국 많은 신문사와 언론사들이 문을 닫는 상황에서 뉴욕타임즈는 최근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며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뉴욕타임즈의 2020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5억 940만 달러의 수익으로 8050만 달러의 이익을 냈다. 디지털 구독, 팟캐스트와 같은 새로운 영역으로 언론 역량을 확장한 것이 수익으로 이어진 것이다.

 

www.tokenpost.kr/article-56677?p_ref=d2DinP

 

NFT, 언론사 수익모델로 영역 확장…뉴욕타임즈 칼럼 6억원에 팔려 - 토큰포스트

신문의 위기는 이제 식상한 말이다. 지하철에 탄 사람들이 신문을 보던 시대는 지났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들고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 본다.한국언론진흥

www.tokenpost.kr

 

 


비탈릭 부테린 "NFT, 사회적 가치 가질 수 있어"


비탈릭 부테린은 'The Most Important Scarce Resource is Legitimacy(가장 중요한 희소 자원은 정당성)'이라는 제목의 블로그 게시물을 남겼다.

부테린은 "NFT가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은 정당성의 문제"라면서 "NFT의 가치는 보유하는 것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향후 재판매될 가능성"이라고 설명했다.

부테린은 NFT가 단순히 유명인에게 혜택을 주는 식으로 기능한다면 사회적 측면에서 순기능을 잃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NFT 기술은 부자들의 카지노라고 인식되고 있다"면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와 잭 도로시 같은 유명인이 NFT를 판매해 자신의 은행 잔고에 100만 달러를 추가하는 일은 사회적 가치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이어 "NFT를 통해 예술가나 자선단체 등 자금을 제공한다면 합법적으로 대중과 사회의 이익을 위한 활동을 펼쳐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부테린은 NFT가 사회적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는 아이디어 두 가지를 제안했다.

첫 번째는 수익의 일부를 자선 활동에 기부할 것을 보장해 NFT를 발행하는 것이다. NFT 수익금을 이용해 세계 빈곤 구제, 과학연구, 예술, 로컬 저널리즘 등의 활동을 지원하자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구매한 NFT를 소셜미디어(SNS)와 연계해 프로필에 표시하는 것이다. SNS 프로필에 표시함으로써 구매자가 자신의 추구하는 가치를 보여줌과 동시에 사회활동에 공헌하는 NFT를 주목시킬 수 있다는 구상이다.

 

www.tokenpost.kr/article-56574?p_ref=sP6OWe

 

비탈릭 부테린 "NFT, 사회적 가치 가질 수 있어" - 토큰포스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 이더리움 공동 창시자는 대체불가토큰(NFT)이 사회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2021년 3월 25일(이하 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은 자신

www.tokenpost.kr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페이스북 암호화폐 '리브라'는 실패"


부테린 창시자는 "기업형 블록체인(컨소시엄체인)은 모든 사람이 동등한 권리를 행사할 수 없고, 소수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퍼블릭체인'만이 건강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이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 근거로 그는 "퍼블릭체인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오픈소스(무상으로 공개된 소스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모여 만들어내는 조직에 가깝고 이것이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며 "오픈소스 철학과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퍼블릭체인은 사람을 고용해 (블록체인) 사업을 하는 컨소시엄체인과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www.news1.kr/articles/?3739490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페이스북 암호화폐 '리브라'는 실패'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