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4000개 기관 펀드에 암호화폐 투자 문 활짝…7월 1일부터
4월 29일(이하 현지시간) 디크립트에 따르면 독일 의회는 4월 22일 기관 투자 펀드 '스페셜펀드(Spezialfonds)'가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법안은 연방 협의회의 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독일 내 스페셜펀드는 4000여 개에 달하며 1조 2000억 유로(1612조 원)의 자금이 들어와있다. 유동성, 다양화, 차입 한도, 레버리지 요건 등에서 유연성이 높은 상품으로 기관 투자자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다. 적정 규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신뢰도도 높다.
신규 법안에 따르면 스페셜펀드의 매니저는 운용 자산의 20%까지 암호화폐에 할당할 수 있게 된다. 기존 펀드뿐 아니라 향후 금융기관, 보험사, 연기금 등 기관이 설립하는 신규 펀드에도 적용된다.
기관 투자자들은 암호화폐를 직접 취급하지 않고 투자 노출할 수 있는 새로운 채널을 갖게 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3500억 유로(470조 원) 상당의 기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될 수 있다고 추산하고 있다.
프랑크 셰플러(Frank Schäffler) 독일 하원의원은 "법 체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스페셜펀드의 암호화폐 투자를 허용한 것은 암호화폐를 수용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www.tokenpost.kr/article-59457?p_ref=0NGZEB
독일, 4000개 기관 펀드에 암호화폐 투자 문 활짝…7월 1일부터 - 토큰포스트
독일이 인기 기관 투자 펀드의 암호화폐 투자를 승인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암호화폐를 제도권 금융 안으로 적극 수용하며 470조 원 규모의 기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에 들어올 수 있는 문을
www.tokenpost.kr
크립토키티·NBA탑샷 개발사, '아바타' NFT 마켓플레이스 만든다
2021년 4월 28일(이하 현지시간) 포브스에 따르면 대퍼랩스는 미국 아바타 어플 지니스(Genies)와 협력해 자체 블록체인 플로우를 기반으로 하는 NFT 마켓 '지니스 마켓플레이스(Genies Marketplace)'를 출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니스 마켓플레이스는 디지털 웨어러블 NFT를 위한 '아마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명인부터 일반 이용자까지 자신의 아바타가 착용할 NFT 수집품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21년 3분기에 베타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다.
로함 가레고즐루(Roham Gharegozlou) 대퍼랩스 최고경영자(CEO)는 "NFT 마켓플레이스 시장은 1년도 안 돼 5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면서 "NBA탑샷을 시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NFT 마켓플레이스 사업에 대한 확신이 있다"고 말했다.
www.tokenpost.kr/article-59479?p_ref=sG0WTl
크립토키티·NBA탑샷 개발사, '아바타' NFT 마켓플레이스 만든다 - 토큰포스트
크립토키티, NBA탑샷 등 인기 대체불가토큰(NFT)을 개발한 캐나다의 대퍼랩스(Dapper Labs)가 NFT 마켓플레이스 구축에 나선다.2021년 4월 28일(이하 현지시간) 포브스에 따르면 대퍼랩스는 미국 아바타
www.tokenpost.kr
日 SBI CEO "리플, SEC 소송 이후 IPO 예정"
리플이 IPO에 나설 것이라는 소식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리플 CEO는 2020년 1월에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IPO를 추진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앞으로 1년 내에 블록체인 산업에서 IPO를 보게 될 것"이라며 "리플사가 선두에 서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www.tokenpost.kr/article-59483?p_ref=W0DXw6
日 SBI CEO "리플, SEC 소송 이후 IPO 예정" - 토큰포스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소송 중인 리플사가 소송 후 기업공개(IPO)에 나설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2021년 4월 29일(현지시간) 기타오 요시타카(北尾吉孝) SBI 최고경영자(CEO)는 리플이 SEC와의
www.tokenpost.kr
美 SEC, 반에크 비트코인 ETF 승인 결정 6월로 연기…첫 승인 언제 나올까
매튜 드레스더니어(Matthew DeLesDernier) SEC 차관보는 4월 28일(이하 현지시간) "SEC는 좀 더 충분한 검토시간을 가지기 위해 반에크의 비트코인 ETF 승인 여부를 6월로 미룬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도 상당하다. 타 주요 국가들이 이미 비트코인 ETF를 승인했기 때문이다. 캐나다는 2월 12일 비트코인 ETF를 승인한 이래 이더리움 EFT를 포함한 다수의 암호화폐 ETF를 승인했다. 브라질도 캐나다에 이어 3월 19일 두 번째로 비트코인 ETF를 승인했다.
특히 캐나다에 상장된 비트코인 ETF는 거래를 개시한 지 1시간 만에 886억 원 이상 거래되면서, 암호화폐 ETF에 대한 수요를 입증한 것 역시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고 있다.
www.tokenpost.kr/article-59470?p_ref=187ejz
美 SEC, 반에크 비트코인 ETF 승인 결정 6월로 연기…첫 승인 언제 나올까 - 토큰포스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반에크(VanEck)의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결정을 6월로 연기했다.매튜 드레스더니어(Matthew DeLesDernier) SEC 차관보는 4월 28일(이하 현지시간) SEC는 좀 더 충분
www.tokenpost.kr
美 연준 의장 "시장 거품, 통화 정책 때문 아냐…경기 회복 원인"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국 연준(Fed) 의장은 시장이 우려하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양적완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산 시장에 거품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통화 정책보다는 경기 회복의 영향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금융 안정성 문제 없다…통화 정책 그대로
이날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월 1200억 달러의 자산 매입 수준도 유지했다.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으면 시장이 압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간 양적완화 수준을 줄일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다.
연준 의장은 대규모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한 금융 안정성 우려를 일축하면서 전반적인 금융 여건은 순조롭게 유지 중이라고 밝혔다. 인플레이션은 올랐지만 주로 일시적인 요인이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www.tokenpost.kr/article-59465?p_ref=LNrfS2
美 연준 의장 "시장 거품, 통화 정책 때문 아냐…경기 회복 원인" - 토큰포스트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국 연준(Fed) 의장은 시장이 우려하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양적완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산 시장에 거품이 있는 것은 사실이
www.tokenpost.kr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암호화폐 불안감은 레퍼런스·질서 빈약 때문"
정 부회장은 대중이 암호화폐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는 암호화폐의 레퍼런스와 질서가 빈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의 용도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참고자료가 부족하고 가격이 오르내리는 배경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도 블라인드 투자에 가까울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정 부회장은 "금 가격은 은이나 동 등의 가격과 비교가 되기 때문에 혼자서 마음대로 춤을 출 수는 없다. 달러는 다른 화폐들과 같은 선반위에 있다"면서 "주가는 크게 오르내리지만 그래도 밸류에이션이라는 공감대가 있고 인덱스는 준거그룹이 있다. 오일은 긴 역사가 있고 대체재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면에서 암호화폐는 용도, 레퍼런스와 밸류에이션이 빈약하고 오르건 내리건 제대로 설명할 길이 없어 블라인드 투자에 가깝다"며 "물론 나보다 훨씬 큰 그릇인 일론 머스크의 생각은 다르다"고 덧붙였다.
www.tokenpost.kr/article-59459?p_ref=2YH8E6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암호화폐 불안감은 레퍼런스·질서 빈약 때문" - 토큰포스트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암호화폐가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화폐가 아니어서 위험하다는 주장은 동의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에 대한 불안감이 레퍼런스와 질서 부족에서
www.tokenpost.kr
골드만삭스 "비트코인 시장 지위 타 암호화폐에 내줄 수 있어"
이어 "비트코인이 이더리움이나 알트코인 등에 강세를 내줬다"면서 "장기 가치 저장소로서의 지배적 위치에 대한 경쟁이 현재 진행 중이고, 이는 비트코인 보유에 추가적인 위혐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커리 총괄은 비트코인이 실제 사용 사례가 부족하고 높은 전력 소비로 인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점수가 낮다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지적했다.
비트코인 점유율 하락세에 지속되는 우려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 유지에 대한 우려는 이전에도 제기된 바 있다. 4월 23일 로니트 고제(Ronit Ghose) 씨티은행 글로벌 책임자(global head)는 비슷한 이유로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이 약화되고 다른 암호화폐보다 느리게 성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www.tokenpost.kr/article-59450?p_ref=KmmMFp
골드만삭스 "비트코인 시장 지위 타 암호화폐에 내줄 수 있어" - 토큰포스트
골드만삭스가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에 우려를 제기했다.골드만 삭스는 2021년 4월 28일 비트코인에 대한 문제점을 요약한 메모에서 비트코인이 다른 암호화폐와의 경쟁, 전력 이슈, 사용사례
www.tokenpost.kr
앞으로 다가올 CBDC와 스테이블코인의 규제 전쟁
디지털 자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와 스테이블코인을 위시한 민간 디지털화폐 사이에 첨예한 경쟁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디지털 자산을 구분하는 기준이 기능에서 규제로 바뀌게 될 것이다.
나는 향후 3~5년 사이 이러한 시나리오를 예상한다.
은행과 보험사, 자산운용사, 핀테크 스타트업, 기타 중앙화된 기업들이 공개형 블록체인(이더리움, 폴카닷, 솔라나 등)을 이용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공개형 블록체인 인프라가 금융의 견인차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각국 정부들도 1) 자국의 CBDC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 2) 기업 및 사용자 활동을 감시ㆍ감독하기 위해서 이들 네트워크를 활용할 것이다.
현명한 정부는 탈중앙화금융(디파이, DeFi)과 블록체인은 물론, 탈중앙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비금융 시스템들까지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정부가 그럴 수는 없다. 일부는 암호화폐를 금지할 것이고, 고통을 겪은 후에야 포기할 것이다. 미국이나 유럽연합(EU), 일본과 같은 기축통화국 및 그 뒤를 바싹 따르는 중국과 같은 국가들은 치열한 싸움을 벌일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은 CBDC와는 완전히 차별화되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중국의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처럼 정부에서 운영하는 CBDC든 USDC나 디엠(diem)처럼 정부의 통제를 받는 CBDC든 상관없이 말이다.
커뮤니티 서포트
암호화폐의 진정한 유동성을 측정하려면 코인의 유통량이 아니라 보유 중인 지갑 개수가 중요하다. 어떤 스테이블코인이 수억개 발행되었더라도 (ESD처럼) 소수의 계좌에 보관되고 있다면 의미가 없다. 그러나 아직은 어떤 스테이블코인이 얼마나 넓게 유통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미래의 활용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포지셔닝 계획과 함께, 이를 지지하는 커뮤니티가 얼마나 열정적인지 봐야 한다.
짐작하겠지만, 내 기준으로는 익명 개발자팀이 이끄는 알고리듬 기반의 실험적 프로젝트가 선호 대상이다. 쉬운 길은 아니겠지만,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승자는 이들 프로젝트에서 나올 것이라 믿는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실험적 프로젝트들은 모두 흥미롭지만, 신중하게 지켜보고자 한다. 앞서 언급했던 베이시스캐시, 플로트, 리엔(리엔의 스테이블코인은 아이돌이다), 갬빗(Gambit)이 특별히 관심이 가는 종목들이다. 비익명 프로젝트 중에는 쉘과 리퀴티가 가장 흥미롭다.
나는 이러한 견해는 장기적 관점에서 나온 것이다. 현재의 역학관계 또는 3~5년 내의 상황을 고려한 결론이 아니다. 현재에도,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도 중앙화된 달러 연동 코인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유동성의 근원이 될 것이다. 그러나 (암호화폐 생태계가 점점 확대되어 정부 통제 하의 금융 시스템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는 등) CBDC와 민영 스테이블코인 사이의 경쟁이 더욱 첨예해지면, 정부는 달러 연동 프로젝트들의 법정화폐 의존성을 부당하게 이용하려 들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미래가 필연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먼발치에서 방관하는 대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준비하고자 한다. 규모 면에서도 영향 면에서도 디파이의 가장 큰 부분이 될 것이다. 현명한 투자자라면 한때 유행하는 이슈들에 지나치게 현혹되지 말고, 이 실험적 프로젝트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시스템에 자본이 쏟아져 들어오고, 회복력이 가장 좋은 프로젝트가 살아남을 것이다.ㆍ
출처 : 코인데스크코리아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32)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32)
www.coindeskkorea.com
코인베이스, 페이팔 결제 지원
코인베이스는 29일(미국시간) 웹사이트를 통해 페이팔에 연동한 신용카드와 은행 계정으로 암호화폐 매수가 가능해졌다고 발표했다.
페이팔 계정이 있는 이용자라면 은행 계정이나 카드 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코인베이스에서 바로 거래가 가능하다. 매수하고 싶은 암호화폐를 누르고 결제 수단으로 페이팔을 추가한 후 페이팔에 로그인하면 된다.
페이팔 계정으로는 하루 최대 2만5000달러(약 2770만원)까지 거래가 가능하다.
코인베이스 관계자는 "그간 은행에서 (코인베이스 계정으로) 돈을 옮길 때 ACH와 와이어(Wiire) 등 기존 송금 방식을 이용하면 시간이 상당히 소요됐다"며 "이번 페이팔 결제 지원으로 페이팔에서 몇 번의 조작만으로 암호화폐를 바로 구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코인데스크코리아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81)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81)
www.coindeskkorea.com
JP모건-DBS-테마섹,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 구축 나서
JP모건, 싱가포르개발은행(DBS),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Temasek)이 손을 잡고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JP모건은 28일(싱가포르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DBS, 테마섹과 함께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 '파티어(Partior)'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파티어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플랫폼 형태로 구현되며, 플랫폼 위에서 금융기관 간 외환동시결제(PVP), 증권대금동시결제(DVP), 개인 간 거래(P2P)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개발해 사용할 수 있다.
파티어는 US달러와 싱가포르달러(SGD)를 기반한 싱가포르 은행을 대상으로 먼저 제공될 예정이다. JP모건은 파티어가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화폐(CBDC)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타키스 게오르가코폴로스(Takis Georgakopoulos) JP모건 글로벌 도매결제 총괄은 "파티어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 도매결제 인프라로 전세계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코인데스크코리아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72)